반응형 회계세무274 퇴사자 남은 연차휴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남은 연차 소진 또는 수당 지급, 사용자가 일방 지정 불가 [비즈앤택스 제공] 연차휴가는 근로자가 1년 동안 계속하여 근무한 경우에 법적으로 받는 유급 휴가를 말합니다. 이 연차휴가는 일정한 조건을 충족해야만 받을 수있으며, 주로 상시근로자가 5명 이상인 기업에서 제공됩니다. 1. 연차휴가 조건 연차휴가를 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합니다: (1) 평균적으로 4주 동안 1주일의 소정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 (2) 1년 동안 근로일의 80% 이상을 출근했을 경우, 15일의 연차휴가가 주어집니다. (3) 근로일의 80% 미만을 출근한 경우에는 근로기간에 따라 매월 1일씩의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퇴사시 남아있는 연차휴가 퇴사자는 퇴사 시에 연차를 소진할지 혹은 미사용 .. 2024. 4. 22. [뉴스]글로벌 최저한세 시행… 韓 기업은 ‘추가 세금 부담’ 우려 글로벌 최저한세가 올해부터 국내에 시행되는 가운데 기업이 추가 세 부담 및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 데 가장 고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최저한세는 다국적 기업에 최소 15%의 법인세를 매기는 것으로, 세율이 낮은 국가의 법인을 활용해 세금 납부를 회피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됐다. 14일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은 최근에 개최한 ‘2024 EY한영 개정세법 세미나’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설문에는 세미나 참석자 중 총 15개 산업 부문의 세무 및 회계 관계자 308명이 참여했다. 국제조세 분야의 가장 큰 변화인 글로벌 최저한세 시행에 관해 국내 기업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은 ‘추가 세 부담 및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33%)이었다. 다음.. 2024. 4. 22. [뉴스]최상목 "밸류업, 배당소득 분리과세…예산 원점 재검토" "밸류업 기업엔 법인세 세액공제"…국회 법개정 사항 "비효율 걷어내 민생토론회 소요 반영"…"당분간 공공요금 동결 기조" (워싱턴=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기업가치 제고 대책, 이른바 '밸류업'의 일환으로 배당소득을 분리과세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배당소득 분리과세는 입법 사항으로 야당을 비롯한 국회의 법 개정 절차가 필요하다. 내년 예산은 모든 분야에서 원점 재검토해 비효율적인 부분을 걷어내고 민생토론회 등에서 나온 정책소요를 최대한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참석차 방문한 미국 워싱턴 D.C.에서 국내 기자단과 간담회를 갖고 이렇게 말했다. 최 부총리는 "배당확대 기업 주주의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2024. 4. 22. [뉴스]47년째 바뀌지 않은 ‘부가가치세율 10%’ 괜찮나 더스쿠프 안창남의 생각 부가가치세 혁신 방법 국민 삶과 밀접한 부가세율 최근 부가세 인하 공약 나와 선거 때 반복되는 재탕삼탕 공약 개편 방안 진지하게 고민할 때 # 4ㆍ10 총선 과정에서 여권 수장의 말 한마디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민생과 밀접한 가공식품의 부가가치세율을 10%에서 5%로 인하하겠다는 약속을 내걸었기 때문이다. # 이렇게 철만 되면 정치권에선 부가가치세율 인하론을 꺼내 들지만, 사실 지금 논의해야 할 건 ‘인상이냐 인하냐’가 아니다. 1977년 도입한 이후 47년째 고착화하고 있는 ‘부가가치세 10%’란 방정식을 혁신하는 게 더 중요하다. 부가가치세는 평범한 시민이 물건을 사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그 대가의 10%를 꼬박꼬박 사업자를 통해 내는 일상생활과 가장 밀접한 세제다. 식.. 2024. 4. 12.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69 다음